[김대호의 경제읽기] 삼성전자 3분기 잠정 매출 73조…분기 사상 최대<br /><br /><br />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영업이익도 반도체 슈퍼사이클 기간이었던 2018년 3분기에 이어 역대 두번째로 높은 성적을 거뒀는데요.<br /><br />반도체 호황과 함께 스마트폰 신제품의 인기가 이 같은 실적을 이끈 것으로 분석되는데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원자재와 해상운송, 전력, 식품 등 다방면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친환경 정책이 야기하는 인플레이션인 이른바 '그린플레이션' 현상마저 겹쳐 물가상승 압박이 더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확한 상황은 어떠한지, 해법은 없을지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삼성전자의 3분기 매출이 분기 사상 처음으로 7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. 영업이익 또한 역대 분기 기준으로 두 번째로 높은 15조8천억 원을 기록하면서 삼성전자의 올해 연간 실적으로 50조 원을 넘어설 전망인데요. 실적 어떻게 보셨습니까?<br /><br /> 반도체 호황과 더불어 스마트폰 신제품의 인기도 실적의 배경으로 꼽힙니다. 하지만 TV 등 소비자가전의 영업익은 2분기보다 조금 줄어든 모습이었는데요. 증권가는 4분기부터 삼성전자 실적이 악화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습니다.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개인투자자들은 실적 발표 이후 삼성전자의 주가 향방에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. 지난 6월 이후 이번 달까지 삼성전자의 주가는 11% 넘게 하락했기 때문인데요. 실적 영향을 받아 반등할 수 있을까요? 오늘 코스피 상황은 어떤가요?<br /><br /> 한편 같은 날 잠정실적을 발표할 예정이었던 LG전자는 다음 주인 12일로 실적 발표를 연기했습니다. 현재 GM과 LG에너지솔루션, LG전자 3사가 볼트 전기차 화재 관련 리콜비용 분담 여부를 논의 중이라고 하던데 결과에 따라 영업익이 달라지게 되겠죠?<br /><br /> 중국 등 세계 주요 생산 공장 가동에 차질이 생기고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며 전 세계에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. 스마트폰과 자동차 등 전방위 산업이 영향을 받고 있다던데 어떤 상황인가요?<br /><br /> 문제는 글로벌 공급망 불안 사태가 언제 끝날지 불투명하다는 겁니다.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공급망 병목 현상이 내년까지 지속할 수 있다고 전망했는데요. 추가로 '그린플레이션'이라는 새로운 변수도 더해지고 있습니다. 탄소중립의 역설로 불리기도 한다는데 정확히 '그린플레이션'이 뭔가요?<br />소중립 속도…대규모 전력 부족 사태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연내 화상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하며 글로벌 공급망 위기 해법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. 글로벌 공급망 문제를 촉발한 주원인 중 하나가 미중 무역 전쟁이고 양측 모두 공급망 문제로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인데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